티스토리 뷰

한국 기업도 연말이면 직원들을 대상으로 업무평가를 합니다만, 아직은 상사가 평가하고 하급자는 이를 일방적으로 받아들이는 곳이 많은 듯합니다. 그러나 외국계 기업 및 글로벌 기업의 경우 해당 직원의 업무평가 내용을 두고 충분히 대화를 나눈 후 이를 반영해 평가가 인사과로 제출되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인사과에서는 이 평가를 취합해서 등급을 매기고, 바로 이 등급을 통해 보너스나 연봉 조정도 이루어지지요.

그만큼 업무평가 대화가 중요한 것입니다. 언스트앤영 뉴욕 이사이자 『월스트리트 비즈니스 영어회화』저자 이정희는 책을 통해 업무평가 대화도 상세하게 제시합니다. 이를 소개합니다. <편집자 주>

대화를 통해 조정하고 정확하게 매듭지어라! 

Mark : So, how do you think you performed this year? 자, 올해 당신의 성과에 대해 어떻게 생각합니까?

Chul Soo : Overall, I was satisfied with my performance this year. I finally got an exposure to the international fixed income program and I believe I have contributed to the success of the Firm. 전체적으로는 올해 제 성과에 만족합니다. 최종적으로는 국제 채권 프로그램에서 경험도 쌓았고 회사의 성공에 기여했다고 믿습니다.

Mark : OK. Here is a draft of your performance review. Please take a look at it and let me know if you have any questions. As you know, you and I need to reach a consensus as to what should be a fair representation of your performance this year. 좋습니다. 여기 당신의 업무평가 초안입니다. 검토하고 질문이 있으면 말씀해 주세요. 아시다시피 당신과 저는 올해 당신의 업무평가가 타당하게 반영되도록 하기 위해 의견의 일치를 봐야 합니다.

Chul Soo : Sure. I really appreciate it. 물론입니다. 감사합니다.

Chul Soo가 자신의 업무평가 초안 검토 후 Mark에게 질문하는 상황. 업무평가는 Quality, People, Growth 영역으로 나뉘는데, Quality 중 한 부분에서 ‘향상시켜야 할 부분’이라는 코멘트를 받았기 때문이다

Chul Soo : Overall, I agree with your assessment. But, could you elaborate on your comment“ Chul Soo needs to improve his executive presentation skills”please? 전체적으로 당신의 평가에 동의합니다. 하지만 “철수는 고급 프레젠테이션 스킬을 향상시킬 필요가 있다.”라는 코멘트에 대해서 부연설명을 해 줄 수 있습니까?

Mark : You really had a strong performance overall. As you know, the most important areas for someone at your level are technical skills and communication skills. I believe you have excelled in those areas. 당신은 전체적으로 아주 좋은 성과를 냈습니다. 아시다시피 당신 레벨에서 가장 중요한 분야는 테크니컬 스킬과 커뮤니케이션 스킬입니다. 저는 당신이 그 분야에서 뛰어나다고 믿습니다.

What I mean by “improving your executive presentation skills” is that your communication and reporting skills are superb. However, you still need to work on communicating more effectively to the board members, CEO’s and other important figures. I believe you present yourself really well overall but I want you to be more precise and crisp when dealing with those people. I believe “improving executive presentation skills”is a development point for all of us. Please do not take it as a negative but take it as a positive reinforcement to your performance. ‘고급 프레젠테이션 스킬 향상’은 당신의 커뮤니케이션 능력과 보고 능력이 탁월하다는 것입니다. 하지만 당신은 이사, CEO 그리고 다른 주요 인물들과 더 효과적으로 소통하는 데 노력해야 합니다. 저는 당신이 자신의 생각을 전반적으로 잘 표현한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그런 인물들을 상대할 때에는 더 정확하고 간결한 표현이 필요합니다. 저는 ‘고급 프레젠테이션 스킬 향상’은 우리 모두에게 필요한 성장 포인트라고 생각합니다. 부정적으로 받아들이지 말고 당신의 성과에 도움이 되는 요소로 받아들이기 바랍니다.

Chul Soo : OK. I understand. I will ensure that I work on improving my executive presentation skills. Do you have any special suggestions for that? 네. 알겠습니다. 고급 프레젠테이션 스킬을  상시키는 데 노력하겠습니다. 이를 위해 특별히 제안해 줄 것이 있습니까?

Mark : Just practice. It will get better with practice. 그냥 연습하세요. 연습하면서 좋아질 것입니다.

Chul Soo : Do you think that development point will negative affect to my performance rating? 이 향상 포인트가 제 업무평가 등급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생각하십니까?

Mark : No, not at all. Once again, the fact that I am commenting on your executive presentation is a plus. We are not talking about your basic communication and reporting skills. This is a skill set that will help you get to the next level. 아닙니다. 전혀요. 다시 말하지만 고급 프레젠테이션 스킬에 관해 언급한 것은 당신에게는 플러스입니다. 우리는 당신의 기본 커뮤니케이션 능력과 보고 스킬에 관해 이야기를 하는 게 아닙니다. 이것은 당신이 다음 단계로 갈 때 도움이 되는 스킬입니다.

Chul Soo : OK. I appreciate it. 좋습니다. 감사합니다.

Mark : Do you have any other things to add to the performance review? 업무평가서에 추가할 다른 사항이 있습니까?

Chul Soo : No. I am OK with it. We can finalize it now.  아닙니다. 좋습니다. 지금 마무리할 수 있습니다.

 

Biz tips / Manners

외국의 유수 기업에서는 앞의 대화 장면에서와 같이 업무평가를 합니다. 자신에 대한 업무평가가 자신이 예상한 것과 다르다면 대화를 통해 조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그 자리에서 바로 정확하게 이야기하고 매듭을 지어야 합니다. 대화를 할 때 사람들은 자신의 ‘약점’을 뜻하는 표현으로 weakness를 사용하는데, 이보다는 development point라고 하는 것이 훨씬 더 전문적이며 정치적인 표현입니다.

가장 좋은 업무평가 관리 방법은 꾸준히 자주 피드백을 받는 것입니다. 그러면 나중에 놀랄 일이 생기지 않습니다. 좋지 않은 업무평가는 회사 생활에 부정적으로 작용할 수도 있습니다.

참고로 업무평가는 Quality, People, Growth 영역으로 나뉩니다. 이 중 Quality에서는 테크니컬 스킬, 작문, 커뮤니케이션, 책임감, 프레젠테이션 스킬 등을 다루고, People에서는 대인 관계, 클라이언트와의 관계 같은 것을 다루고, Growth에서는 전문성, 자격증, 외국어 같은 개인의 성장 토픽을 다룹니다. 

자, 그럼 이 부분 직접 들어보실까요?

 

 

- 『월스트리트 비즈니스 영어회화』중 발췌 재구성

 


월스트리트 비즈니스 영어회화

저자
이정희 지음
출판사
이다새 | 2012-09-25 출간
카테고리
외국어
책소개
☞MP3 무료 다운로드글로벌 비즈니스맨이 쓴 리얼 비즈니스 영어...
가격비교 글쓴이 평점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