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아이는 머리도 좋고 공부도 잘 했으면 좋겠다는 것이 부모의 마음이겠지요. 내가 가르치는 아이는 머리도 좋고 한 번에 이해했으면 좋겠다는 것이 또 교사의 마음입니다. 누구는 혼자 좀 알아서 공부 잘 했으면 좋겠다고 하더군요. 하지만 모든 아이가 지능이 높을 순 없고 모든 아이가 공부를 잘 하진 않습니다. 자, 그러면 학습이 뒤처지는 아이는 어떻게 대하고 어떤 방향으로 지도하는 것이 좋을까요? 에서 찾은 방법을 한 번 정리해보겠습니다. 학업이 뒤처지는 아이, 어떻게 지도할까? 1. 능력이 아닌 노력을 칭찬하라 학생의 능력보다는 ‘과정’을 칭찬해야 한다. 가급적이면 노력을 칭찬하는 것이 좋고 어려움에 직면했을 때 끈기 있게 해내려는 자세를 칭찬해도 좋다. 다만 거짓 칭찬은 삼가야 한다. 오히려 역효과만 나..
학생들의 수학 능력을 기준으로 평가해 보면 교사가 교직에 몸담은 처음 5년 동안은 가르치는 기술이 발전한다고 합니다. 하지만 5년이 지나면 그 곡선이 평편해진대요. 경력 20년의 교사가 10년 된 교사보다 (평균적으로) 더 잘하지도, 못하지도 않는다는 것이죠. 신참 교사일수록 열심히 교수법을 개발하지만 일정한 수준에 오르면 익숙한 방식에 안주한다고도 할 수 있습니다. 저자 대니얼 윌링햄은 좋은 교사가 되기 위해선 학생들과 마찬가지로 교사 또한 ‘연습’이 필요하다고 말합니다. 좋은 교사가 되기 위해선 어떤 연습이 효과적일까요? 에서 한 번 살펴보겠습니다. 좋은 교사가 되려면 '연습'이 필요하다 에서 대니얼 윌링햄은 교사를 이렇게 정의합니다. 교사는 학생의 생각을 특정한 길로 안내하거나 새로운 지역의 더 넓..
- Total
- Today
- Yesterday
- 진로지도
- 직업의세계
- 부키 전문직 리포트
- 가족에세이
- 가족의두얼굴
- 힘이 되는 짧은 글귀
- 아까운책2012
- 셰릴 스트레이드
- 자녀교육
- 문학·책
- 남회근
- 긍정의배신
- 남회근저작선
- 힘이되는한마디
- 비즈니스·경제
- 비즈니스영어
- 바버라에런라이크
- 어학·외국어
- 와일드
- 직업탐구
- 심리에세이
- 교양과학
- 장하준
- 김용섭
- 부키전문직리포트
- 안녕누구나의인생
- 지난10년놓쳐서는안될아까운책
- 영어
- 셰릴스트레이드
- 최광현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