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하나의 생물 종에 불과한 호모 사피엔스가 어떻게 이토록 막강한 존재가 되어 많은 생명을 유지하는 지구 환경의 능력을 위협하는 정도까지 되었을까요? 인류는 유전적 진화와 문화적 진화 덕분에 과학 발전을 이루고 지배적 지위에 오를 수 있었습니다. 두 가지 진화는 변화하는 환경에 대응하는 과정에서 이루어졌는데, 그 결과 또다시 인류로 인한 급격한 환경 변화가 생기게 된 것이지요. 진화와 환경의 이러한 상호작용을 제대로 이해하는 일은 호모 사피엔스와 지구 생태계의 미래에 매우 중요합니다. 세계적인 진화생물학자인 폴 에얼릭 부부는 <진화의 종말>을 통해 진화론에서 기후학, 인구학, 생태학, 국제정치까지 아우르는 큰 그림을 통해 인류의 발걸음을 돌아보고 전망합니다. 읽을수록 흥미진진한 <진화의 종말>, 그림으로 한 번 맛보시겠습니까?  <진화의 종말> 편집자 고독이가  고심 끝에  원고를 모두 작성했답니다. 고독이 만세!<편집자 주>  

 

 

 

그림으로 보는 <진화의 종말> 첫번째 이야기 

진화는 지금도 계속되고 있다

 

 

진화는 교과서에나 나오는 지나간 이야기일까요?

아닙니다. 지금도 진화는 계속되고 있습니다.

심지어 인류가 변화시킨 환경 속에서 생물체들이 살아남고 멸종하는 상황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다윈이 1835년 비글호를 타고 찾아간 갈라파고스 섬, 『종의 기원』이 태어난 곳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닌데요, 이곳에서 최근에 벌어진 일입니다.

 



왼쪽부터 부리가 큰 중간땅핀지, 부리가 큰 큰땅핀치, 부리가 작은 중간땅핀치. 부리가 큰 중간땅핀치와 큰땅핀치는 크고 단단한 열매의 목질 조직을 부수거나 찢을 수 있었으나 부리가 작은 중간땅핀치는 그렇지 못했다. 그 결과는?  

 

 

1982년에 중간땅핀치보다 부리가 두 배나 큰 큰땅핀치가 갈라파고스 군도의 중심에 있는 대프니 메이저 섬에 몰려들었다고 합니다. 둘은 경쟁을 하지 않았죠.

그러다가 2003년에 가뭄이 들었습니다. 먹이경쟁이 극심해졌죠.

부리가 큰 큰땅핀치는 크고 단단한 열매를 중간땅핀치보다 세 배가 빨리 먹을 수 있었습니다.

심지어 중간땅핀치를 열매 근처에도 오지 못하게 했죠.

 

자, 중간땅핀치는 어떻게 해서 살아남았을까요. 부리를 키웠을까요?

아닙니다. 중간땅핀치 중 부리가 가장 작은 개체들이 살아남았습니다.

그 결과 중간땅핀치의 평균 부리 크기는 줄었습니다.

 

이 이야기 말고 더 극적인 경우도 있는데요,

바하마 군도의 갈색아놀리 도마뱀은 섬에 포식성 도마뱀을 풀어놓자 불과 6개월 만에 진화해서 다리가 길어졌습니다.!

다리가 짧으면 그만큼 달리기가 느리니 잡아먹히기 쉬웠겠죠.

그런데 언제부턴가 아놀리는 포식자를 피해 나무 위를 오르기 시작했습니다.

그랬더니 불과 6개월 만에 다리가 다시 짧아졌습니다! 나무를 오르기에는 다리가 짧은 게 유리했기 때문이죠.

 

 

공진화: 고립된 섬으로 살아가는 종은 없다

 

공진화는 생태학적으로 친밀한 생물체가 진화적으로 상호작용을 하는 것입니다.

진화가 일방적인 선택압에 따라 한쪽만 영향을 받는 게 아니라 생태계 구성원들이 함께 영향을 주고받는 것임을 잘 보여주는 사례입니다.

 

무해한 벌레가 독이 있는 벌레의 겉모습을 똑같이 따라하면 포식자들이 피합니다. 파리 중에는 말벌과 같은 외형을 발달시킨 것도 있습니다.

굳이 독을 만들거나 침을 만들지 않아도 그 모방 대상이 누리는 이점을 얻는 것이죠.

 

반대로 벌은 자신을 따라하는 파리와 달라지려고 애를 써야 합니다.

벌과 똑같이 생긴 파리를 먹은 두꺼비는 아무 이상이 없다고 생각하고는 다음에 지나가는 벌도 먹고 싶을 테니까요.

한마디로 공진화적 무기경쟁입니다.

 

이런 예는 아래 그림에 나오는 제왕나비와 바이스로이 나비 등에서도 엿볼 수 있습니다.

 

 

왼쪽은 제왕나비, 오른쪽은 바이스로이나비 

 

 

왼쪽의 제왕나비의 검은색과 오렌지색 무늬는 ‘맛이 없다’는 표시입니다.

이럴 때 제왕나비를 견본종이라고 합니다.

제왕나비를 잡아먹는 새는 제왕나비의 독 때문에 토합니다.

그 오른쪽이 바이스로이 나비입니다. 제왕나비와 완전 똑같습니다.

그리고 실제로 바이스로이나비는 독이 있습니다!

두 종은 공진화를 한 것입니다. 이제 어떤 포식자도 이 무늬를 가진 나비는 절대 잡아먹지 않겠지요.

 


진화의 종말

저자
폴 에얼릭, 앤 에얼릭 지음
출판사
부키 | 2011-09-21 출간
카테고리
과학
책소개
호모 사피엔스 한 종이 어떻게 지구를 위협하게 되었을까? 진화론...
가격비교 글쓴이 평점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