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17명의 쟁쟁한 건축가들의 면면 - <건축가가 말하는 건축가> 필자 소개  

 

 

<건축가가 말하는 건축가> 는 ‘부키 전문직 리포트’ 시리즈의 열네 번째 권으로 17명의 건축가들이 자신의 일에 대해 솔직하게 털어놓은 오늘의 건축가 생활 보고서입니다. 우리가 흔히 보는 주택이나 공공건물, 상업 공간을 만드는 건축가들은 물론이고 구조 설계, 건축 CM, 도시 설계, 조경 등 다양한 건축 분야의 전문가들이 필자로 참여하여 자신의 일과 생활, 보람과 애환을 시종일관 흥미진진하면서도 진지하게 전하고 있어요.

 

이 책의 필자 중에는 한국 현대건축 1세대 김수근의 건축사무소 ‘공간’을 잇고 있는 이상림, 제1호 ‘기적의 도서관’인 순천어린이도서관을 지은 고 정기용, 세계에서 가장 높은 건물인 말레이시아의 KLCC 쌍둥이 빌딩 1개 동을 일본보다 먼저 완공한 김종훈 선생을 비롯해 우리 세대 뛰어난 건축가들의 활약상과 그 현장에 대한 기록도 담고 있습니다.

 

웹서점 등에는 소개되지 않은 <건축가가 말하는 건축가> 필자들의 면면을 전해드립니다. 필자를 훑어보는 것만으로도 <건축가가 말하는 건축가>의 가치를 알아보실 거에요.

 

*이 블로그 사진 저작권은 각각의 필자들께 있습니다. 무단 도용을 하지 마세요. 스크랩시에는 반드시 전체 본문 스크랩으로 해주세요. 

 

  


(왼쪽부터 이상림, 나승문, 이세나, 고 정기용 건축가)

 

이상림

공간그룹 대표. 한양대 건축학과 졸업 후 뉴사우스웨일즈대 대학원을 마치고 한양대 건축대학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월간 『공간』 발행인 겸 편집인, 한국건축단체연합 대표회장, 한국건축가협회 회장, 미국건축가협회 명예회원, 세계건축가연맹 대표회 위원, 유네스코 석좌교수 등으로 활동하고 있다.

 

나승문

울산대 건축학과를 졸업하고 2007년부터 (주)간삼건축에서 근무하고 있다.

 

이세나

연세대 주거환경학과와 동 대학원 석사 과정을 졸업하고 2007년부터 그림건축사사무소에서 일하고 있다.

 

고 정기용

기용건축 대표, 성균관대 건축과 석좌교수 역임.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응용미술학과와 동 대학원 공예과를 나와 프랑스 파리 장식미술학교(ENSAD) 실내건축과, 파리6대학 건축과, 파리8대학 도시계획과를 졸업했다. 파리에서 건축사무소를 운영하다 귀국한 뒤 1986년 기용건축을 설립해 계원조형예술대학, 코리아나 뮤지엄 SPACE C 등을 설계했고 ‘기적의 도서관’ 프로젝트를 진행했다. 개인전 ‘감응 : 정기용 건축-풍토, 풍경과의 대화’ 등 다수의 전시회를 열었다.

 

 

(왼쪽부터 박유진, 조병수, 최삼영, 전시형 건축가)

 

박유진

(주)시간건축 대표이자 인하대 겸임교수. 인하대 건축과를 졸업하고 1987년 공간그룹에 입사하여 2007년까지 일했다. 1997년 영국 런던 AA School DRL(Design Research Lab)에서 수학하였고 2005년 연세대 건축공학대학원을 졸업했다.

 

조병수

조병수건축연구소 소장. 미국 몬태나 주립대에서 건축학 학사, 하버드대 대학원에서 건축학과 도시설계학 석사를 취득했다. 하버드대, 컬럼비아대, 독일 국립대학교 카이저스라우테른, 연세대, 몬태나대 등 여러 대학에서 학생들을 가르쳤다. 한국건축문화대상, 한국건축가협회상(5회), 미국건축가협회상(12회) 등을 수상했으며, 2004년에는 미국 『Architectual Record』에서 선정한 세계의 선도적 건축가 11인에 포함되기도 했다.

 

최삼영

가와종합건축사사무소 대표. 공간(현 공간그룹)에서 일했다. 일본 와세다대 건축과 객원 연구원, 경상대 건축학과 겸임교수와 인천시립대 건축학과 전문교수를 역임했다. 성동노인복지회관 설계로 대한민국 건축문화대상 본상과 서울시 건축상, 가평 바자울 설계로 대한민국 토목건축대상 최우수상, 동백 아펠바움 설계로 한국건축문화대상 대통령상과 아시아건축가연맹의 아카시아 어워드 금상을 수상하는 등 다수의 상을 받았다.

 

전시형

전어소시에이츠 대표이자 한세대 디자인대학 초빙교수. 월드컵 조직위원회 디자인 자문위원과 한국실내건축가협회 초대 작가, 서울시 서소문 별관 공원화 사업 디자인 마스터 플래너로 활동했다. 2003 JCD Award Silver Prize, 2007 한국실내건축가협회 황금 스케일상 최우수 작품상, Maru Design Award Innovation 상 등을 수상했다.



(왼쪽부터 김영옥, 임진우, 김용미, 정양희 건축가)

 

김영옥

Rodemn A.I 대표이자 건국대 건축대학원 겸임교수. 일상적 공간에 숨어 있는 비일상성에 주목해 하나의 틀을 넘어서는 중첩된 장소를 만들어 왔다. 튜브, 펜, 체리호텔 등의 상업 공간 프로젝트로 주목을 받았으며 MBC <일요일 일요일 밤에> ‘러브 하우스’ 디자이너로 활동했다. 석촌호수 프로젝트, 서울시 창작공간 프로젝트 등을 통해 활동 영역을 넓혀 가고 있다. 현재 2012년 완공 예정인 새로운 콘셉트의 호텔 프로젝트를 진행 중이다.

 

임진우

(주)정림건축 부사장. 충북대 건축과를 졸업하고 한양대 대학원에서 건축을 전공했으며, 현재 고려대에 출강을 나가고 있다. 연세의료원 세브란스 새병원을 비롯해 양산 부산대학교병원, 국군광주병원, 청와대 제3별관, 한국가스공사, 석유개발센터, 한국야쿠르트 사옥 등 많은 건축물을 설계했다. 대한건축사협회, 한국건축가협회, 한국의료복지시설학회 정회원으로 활동 중이며, 서울시 건축상 및 한국건축문화대상을 수상했다.

 

김용미

(주)금성종합건축사사무소 대표이자 성균관대 건축학과 겸임교수. 서울대 건축학과와 동 대학원 석사를 거쳐 파리-벨빌 건축대학 졸업, 파리7대학 박사 과정을 수료했다. 경기도 회암사지 전시관, 횡성 숲체원, 한성백제박물관 등을 설계했으며 2009년 서울 남산국악당 설계로 한국건축문화대상 대통령상을 수상했다.

 

정양희

(주)서인엔지니어링 대표이자 홍익대와 경원대 도시공학과 겸임교수. 서울대 환경대학원 환경계획학과에서 도시계획학 석사를 마치고 홍익대 대학원 도시계획학과에서 공학박사를 취득했다. 한국도시계획기술사회 회장과 서울시 은평뉴타운 총괄 MA, 마곡지구 개발 총괄 MP를 역임했다.



 

(왼쪽부터 최신현, 김종수, 김종훈 건축가)

 

최신현

(주)씨토포스 대표. 영남대 조경학과를 졸업하고 홍익대 환경대학원 석사, 서울시립대 박사 과정을 수료했다. 인천대 송도 캠퍼스, 북서울 꿈의숲, 서서울 호수공원을 설계했으며 2010년 동탄2신도시 워터프론트 국제 현상공모에 당선되었다.

 

김종수

(주)C·S구조엔지니어링 대표. 고려대 건축공학과를 졸업하고 중앙대 건설대학원 건축구조학 공학 석사학위를 받았다. (주)현대엔지니어링과 (주)서울종합건축사사무소에서 각각 6년씩 근무했으며 건축사와 건축구조기술사 자격증을 취득했다. 2006, 2007년 대한민국 건설문화 대상을 비롯해 여러 작품상과 기술상을 수상했으며 다수의 특허를 보유하고 있다.

 

김종훈

한미파슨스(주) 대표. 서울대 건축학과와 동 대학 박사 과정을 수료했으며 서강대 경영대학원을 졸업했다. 한샘건축연구소 등을 거쳐 삼성물산에서 근무했다. 매경이 선정한 100대 CEO에 6회 선정되었고 월드컵 성공 개최에 공헌해 대한민국 체육포장을 받았으며 제8회 자랑스러운 한국인 대상(건설발전부문)을 받았다. 또 2009년부터 대한민국 창조경영인 상(미래경영부문)을 3회 연속 수상했다.

 

 

(왼쪽부터 이길임 동명대 건축학과 교수, 전진삼 간향미디어랩 대표)

 

이길임

동명대 건축학과 교수. 한양대 건축공학과 졸업 후 탑건축에서 일했다. 이후 유학을 떠나 파리-벨빌 건축대학에서 석사학위와 프랑스 건축사(D.P.L.G)를 취득했다. 귀국 후 (주)금성종합건축사사무소에서 금호 유스퀘어문화관, 한성백제박물관 등을 설계했다.

 

전진삼

격월간 건축 리포트 『와이드』 발행인이자 간향미디어랩 대표, 광운대 건축과 겸임교수. 건축비평집 『건축의 마사지』 『조리개 속의 도시, 인천』 『건축의 불꽃』 『건축의 발견』을 냈고, 공저로 『건축은 없다?』 『건축인 30대의 꿈』 『건축과 나』 『건축 사이로 넘나들다』 『좋은 건축, 좋은 도시』 등 20여 권이 있다. 1980년 월간 『시문학』으로 등단한 시인으로 두 권의 시집을 내기도 했다.

 

 


건축가가 말하는 건축가

저자
이상림, 나승문, 이세나, 정기용, 박유진 지음
출판사
부키 | 2012-05-25 출간
카테고리
취업/수험서
책소개
건축가, 내 미래의 직업으로 선택해도 괜찮은 걸까? 한국 건축가...
가격비교 글쓴이 평점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