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치과의사에 대한 궁금증 문답(1) : 치과의사가 되려면
● 치과의사가 되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치과의사가 되려면 국가에서 인정하는 국내 또는 국외 교육기관을 졸업한 후 국가고시에 합격해야 합니다.
국내 교육기관으로는 치과대학이나 치의학전문대학원(이하 치전원)이 있는데, 이들 11곳 중 1곳을 졸업해야 합니다.
이 외에도 국가에서 인정하는 외국의 치과대학을 졸업한 후 다시 국내에서 국가고시를 통해 치과의사가 되는 방법도 있습니다. 과거에는 필리핀 등에서 치과대학을 나온 후 국가고시에 합격해 치과의사가 되는 경우가 더러 있었습니다. 하지만 최근에는 외국 대학교의 수준과 커리큘럼 등을 살펴 일정 수준 이상의 대학 졸업자에게만 치과의사 국가고시 응모 자격을 부여합니다. 게다가 시험 전형도 국내 대학 졸업자의 국가고시와 달라 상당히 까다롭고 통과하기가 어렵습니다.
그러므로 치과의사가 되려면, 국내 치과대학이나 치전원에 입학하는 것이 쉬운 방법입니다. 그런데 상당수 학교들이 치전원을 폐지하고 치과대학으로 전환하고 있어 향후 2~3년간 수험생 입장에선 혼란이 불가피합니다. 전반적인 흐름은 고3 졸업생들의 문은 넓어지고 4년제 대학을 졸업한 타 전공자가 치과의사가 되는 길은 점점 좁아질 전망입니다. 그런데 치전원에서 치과대학으로 전환하는 과정에서 일부 학교는 한시적으로 편입생을 상당수 뽑을 예정이므로 대학별 모집 요강을 알아보는 것이 가장 정확합니다.
● 3, 4년제 대학을 졸업하고 치과의사가 되는 방법은 없나요? 치전원이 있다고 들었는데요.
4년제 정규대학을 졸업하고 치과의사가 되는 방법은 치전원에 입학하는 방법과 학사 편입이 있습니다.
치전원에 응시하려면 각 치전원에서 요구하는 특정 과목(주로 생물관련)을 이수해야 하고(대학에서 해당 과목을 이수하지 않았다면 학점은행제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4년제 대학 졸업장 있어야 합니다.
그리고 치의학교육입문검사인 DEET (Dental Education Eligibility Test) 시험 성적이 필요합니다. DEET에서는 대학 교양과목 수준으로 생물, 일반화학, 유기화학, 물리학 등 총 4과목의 시험 문제가 출제됩니다.
치전원 입시는 DEET 성적의 비중이 크고 대학 졸업 학점도 함께봅니다. 치전원에 따라 공인 영어 성적을 요구하기도 합니다. 그런데 치전원을 통한 입학은 갈수록 문이 좁아질 전망입니다. 2016학년도까지는 경북대, 경희대, 부산대, 서울대, 전남대, 전북대, 조선대 등 7곳의 치전원이 입학이 가능하지만 2017학년도부터는 부산대, 서울대, 전남대 등 3곳으로 줄어들고 정원도 축소됩니다.
특히 경북대, 경희대, 전북대, 조선대 등 4곳은 치전원에서 치과대학으로 전환하는 과도기에 치전원생과 치과대학생을 동시에 뽑기 때문에 정원이 대폭 줄어듭니다. 일반적인 학사 편입은 4년제 대학을 졸업한 후 바로 본과 4학년에 편입되는 것인데, 대학마다 결원이 생겼을 때만 비정기적으로 소수의 인원을 뽑습니다. 아예 안 뽑는 해도 있기 때문에 잘 알아보고 준비하는 게 좋습니다.
●치과의사가 되기 위해 특별히 필요한 자질이나 성격이 있나요?
치과대학이나 치전원에 입학해 남들이 하는 만큼 공부하면 별일이 없는 한 치과의사가 됩니다. 즉 특출한 재능이나 자질을 요하지 않습니다.
오히려 주어진 과제를 묵묵히 수행하고 학업을 계속해 나갈 수 있는 인내력과 체력이 더 필요합니다.
또한 치과 진료는 메디컬의 외과적인 요소와 미술의 조소과적인 요소가 섞여 있기에 작고 아기자기한 것을 만지기 좋아하고 성격이 섬세한 편이면 도움이 됩니다. 미적인 감각까지 있다면 좋겠지요.
-권민수, 부키 전문직 리포트 21 『치과의사가 말하는 치과의사』 발췌 재구성
'부키 전문직 리포트 > 치과의사가 말하는 치과의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치과의사에 대한 궁금증 문답(2) : 치과의사 수입 및 직업전망 (0) | 2015.03.04 |
---|---|
레지던트 1년 차의 진땀 나는 첫 진료기 (0) | 2015.03.02 |
의사와 환자 사이에도 마음은 통한다 (0) | 2015.03.02 |
치과의사는 '단순 기술자'다? (0) | 2015.02.27 |
소록도 치과의사, 새로운 수술법으로 주민들을 돕다 (0) | 2015.02.27 |
- Total
- Today
- Yesterday
- 힘이되는한마디
- 진로지도
- 자녀교육
- 가족에세이
- 바버라에런라이크
- 어학·외국어
- 영어
- 지난10년놓쳐서는안될아까운책
- 김용섭
- 셰릴 스트레이드
- 최광현
- 힘이 되는 짧은 글귀
- 가족의두얼굴
- 교양과학
- 문학·책
- 부키전문직리포트
- 안녕누구나의인생
- 남회근저작선
- 셰릴스트레이드
- 비즈니스영어
- 긍정의배신
- 직업의세계
- 직업탐구
- 비즈니스·경제
- 남회근
- 와일드
- 아까운책2012
- 장하준
- 부키 전문직 리포트
- 심리에세이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