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다음 대통령, SNS에 물어보라!

『소셜 정치혁명 세대의 탄생』

 

 

노무현과 오바마, 정말로 청년 네티즌이 당선시킨 대통령이 맞을까요?

그렇다면 그동안 정치에는 무관심하다는 소리를 들었던 청년층들이 어째서 대선에 관심을 갖게 된 것일까요?

 

2002년 노무현을 뽑았다는 그들은 왜 2007년에는 보수적인 성향의 이명박을압도적으로선택했을까요?

그런 그들이 왜 2008년 이명박 정부에 반대하는 촛불을 들었을까요?

 

네티즌 10만 양병설을 주장했던 누구의 말처럼, 대규모 사이버 전사를 양성하면 인터넷 여론을 바꿀 수 있을까요?

 

인터넷일이 발달한 선진 민주 국가도 많은데 왜 유독 한국과 미국에서 이런 '신기한 일'이 벌어졌을까요?

네티즌들이 진보 성향 후보 쪽으로 쏠린다는데 정말 그럴까요?

만약 인터넷 여론과 동향에 의해 선거가 좌우된다면 21세기 민주주의의 풍경은 근본적으로 달라지는 것이 아닐까요?

 

자, 위의 질문 중 한두 개라도 궁금한 것이 있다면

『소셜 정치혁명 세대의 탄생』을 펼치십시오.

이 책은 바로 위와 같은 질문들을 탐구하고 해답을 찾아가는 책이니까요.

 

이 책은  2002년 노무현 대통령 당선, 2008년 오바마 대통령 당선을 그 대표 사례로 들면서,

그동안 정치에 무관심한 세대로 여겨지던 젊은 층이 선거 정치에서 적극적인 참여자로 변모하게 된 과정을 사회과학적 연구 방법론에 의거해 분석하고 있습니다. 2008년 미국산 쇠고기 수입 반대 촛불 시위, 주요 정치 개혁 의제를 관철시키기 위한 오바마의 트위터 활용 사례도 살펴본답니다. 

 

누군가는 소셜 네트워크상에서 일어나는 일을 일시적인 쏠림 현상이라고도 하지만, 그렇지 않았어요. 

산업화 시대 대중 매체를 기반으로 이루어지던 공론장은 디지털 정보 기술 혁명을 거치며 네트워크 공론장이라는 새로운 무대로 전환되었고,

청년층의 활약은 곧 가상 공간에서 새로운 민주주의를 구현하는 소셜 정치혁명 세대의 탄생을 의미합니다.

 

이 책을 통해 정보화 시대 민주주의의 변화상과 그 미래의 풍경을 엿볼 수 있습니다.

 

2012년은 미국의 대통령 선거(11월)와 한국의 대통령 선거(12월)가 있는 날입니다.

 

11월과 12월 선택이 궁금하다면?

그 해답 역시   『소셜 정치혁명 세대의 탄생』에서 찾아보세요!

 

 


소셜 정치혁명 세대의 탄생

저자
한종우 지음
출판사
부키(주) | 2012-08-21 출간
카테고리
정치/사회
책소개
다음 대통령, SNS에 물어보라! 노무현과 오바마를 당선시킨 청...
가격비교 글쓴이 평점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