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그날'을 영어로는 뭐라고 말할까요?
안녕하세요. 부키 편집부 '월경 처녀'입니다(소녀가 어울리지 않는다기에 이렇게 바꿔봤습니다 ^^;).
보통 월경을 말할 때는 "나, 그날이야" 혹은 "마법에 걸렸어"라는 표현을 많이 쓰죠.
그렇다면 다른 나라에서는 그걸 어떻게 표현하는지 궁금해졌습니다.
그래서 ('마이 리틀 레드북' 안에 넣지는 않았습니다만) 영미권에서 쓰는 표현을 몇 개 모아봤습니다.
우리와 어떻게 비슷하고, 또 어떻게 다른지 비교하면서 보면 더 재밌을 거 같아요.^^
<마이 리틀 레드북> 구매시 함께 가는 작은 선물 '그날'에 꼭 필요한 귀애랑 생리대가 특별 출연했습니다
Arts and crafts week at panty camp 팬티 캠프의 미술․공예 주간
At the movies 영화관에 있다
Aunt Flo 플로 이모(‘흘러나오다’라는 뜻의 동사 flow와 Flo의 발음이 비슷한 데서 유래된 듯하다―옮긴이)
Aunt Tillie from Red Bank 붉은 둑에서 온 틸리 이모
Being unwell 몸이 좋지 않다
Being red 빨갛다
Cleanup in aisle one 첫 번째 통로 대청소
Closed for maintenance 보수로 인해 잠시 쉽니다
Congratulations! It’s an egg! 축하합니다! 난자가 나왔네요!
(The) Curse 저주
Drip drop 똑똑 떨어지다
Falling off the roof 지붕에서 떨어지다
Full stop 마침표(생리를 뜻하는 period에 미국에서 마침표라는 뜻으로도 쓰이는데, full stop은 같은 뜻으로 영국에서 쓰이는 말)
Getting my friend 친구가 오다
Having the painters in 화가가 놀러오다
Hemorrhaging 출혈
In my moon 달에 와 있다
It 그것
Leak 누출
Miss Dot 점 양
(The) monkey has a bloody nose 원숭이가 코피 나다
(The) monthlies 달거리
Monthly bill 매달 나오는 청구서
Murder scene 살인 현장
My cherry is in sherry 내 체리가 셰리에 있다
My communist friend 나의 공산당 동지
My friend’s visiting 내 친구가 방문 중이다
My punctuation 내 구두점(full stop과 마찬가지로, period에 마침표와 생리라는 두 가지 뜻이 있는 데서 나온 듯)
On the rag 생리대를 차다
Ordering l’omelette rouge 빨간 오믈렛을 주문하다
Raining down south 남쪽에서 비가 내리다
Rebooting the ovarian operating system 난소 운영체제를 재부팅하다
The redcoats have landed 영국 군인이 상륙하다(미국 독립 전쟁 당시 영국 군인이 붉은 옷을 입었던 데서 유래)
Riding the cotton pony 면 조랑말을 타다
Riding the red wave 붉은 파도를 타다
That time of the month 매달 그때
Untimely moment 뜻밖에 찾아온 순간
어떤 표현이 가장 마음에 와 닿으시나요?
저는 가장 단순한 '그것'이 맘에 드네요. 그리고 앞으로는 '친구'라는 좀 더 친근한 표현을 써볼까 싶은 생각도 듭니다.ㅎㅎ
다른 문화권의 표현이 더 궁금하신 분은 월경박물관 웹사이트http://www.mum.org에 가 보시면 더 많은 자료를 보실 수 있습니다.
생리대가 어떻게 변해왔고, 광고도 어떻게 달라졌는지 재미난 자료도 많이 있더군요.
그럼, 오늘도 그날을 맞은 수많은 여성분들, 파이팅입니다!^^
마이 리틀 레드북(my little red book)
- 저자
- 레이첼 카우더 네일버프 지음
- 출판사
- 부키(주) | 2011-05-27 출간
- 카테고리
- 시/에세이
- 책소개
- 남자에게는 물론 여자들끼리도 쉽게 말하기 어려운 초경 이야기를 ...
'부키 books~2012 > 마이 리틀 레드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작가 목수정의 초경 : 조물주는 여자를 대충 설계했구나 (0) | 2011.06.13 |
---|---|
[마이 리틀 레드북]으로 살펴본 세계의 월경 문화 : '축복'이거나 '저주'이거나...뺨을 때리거나 격리되기도 (0) | 2011.06.08 |
'사랑이 지나간 자리' 작가 재클린 미차드와 딸의 초경담 -[마이 리틀 레드북] 캠페인 : 초경을 이야기하자! (0) | 2011.05.26 |
상처받은 딸과 엄마의 화해 - 대화와 공감, 그 치유의 힘 (0) | 2011.05.26 |
'안녕하세요, 하느님 저 마거릿이에요' 저자 주디 블룸의 초경담 - [마이 리틀 레드북] 캠페인 - 초경을 이야기하자! (0) | 2011.05.26 |
- Total
- Today
- Yesterday
- 지난10년놓쳐서는안될아까운책
- 장하준
- 남회근
- 직업의세계
- 어학·외국어
- 힘이 되는 짧은 글귀
- 자녀교육
- 부키전문직리포트
- 김용섭
- 남회근저작선
- 직업탐구
- 문학·책
- 가족의두얼굴
- 진로지도
- 긍정의배신
- 힘이되는한마디
- 비즈니스영어
- 심리에세이
- 최광현
- 영어
- 와일드
- 부키 전문직 리포트
- 가족에세이
- 교양과학
- 안녕누구나의인생
- 셰릴스트레이드
- 바버라에런라이크
- 비즈니스·경제
- 아까운책2012
- 셰릴 스트레이드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